“대구 PPP 구조적 한계 연장선될 것”
“반복 사고 막으려면 ‘민간의 공공화’ 필요”
클라우드 컨트롤타워·예산 확보 시급
최지웅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장.
"인공지능(AI) 글로벌 강국(G3)을 위해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보단 근간인 클라우드 인프라를 강화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데이터센터를 짓고 GPU를 사는 것보다는 방대한 데이터를 만들고 저장해 이중화할 수 있는 클라우드 운영 체계 재정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거버넌스를 재편하고 클라우드 컨트롤타워를 세우는 한편 민간의 역량을 앞세울 단계적 전환 모델을 구축할 때입니다."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재해복구(DR) 이중화 시스템이 허술했다는 점이 여실히 드러났다. 서비스 복구 속도가 느리고 완벽한 복구는 내년에야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KT클라우드와 삼성SDS, NHN클라우드 등 주요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복구 작업을 지원하면서 민간 클라우드 전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최지웅(사진)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장(KT클라우드 대표)은 최근 디지털타임스와 만나 정부의 사후 대처 방안인 민관협력형(PPP) 모델 활성화는 진정한 해결법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최 회장은 "대구 PPP모델은 공공정보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분산·민간화하는 정책 전환점으로 평가할 수 있다"면서도 "이번 사고가 구조적 한계를 지녔다는 점에서 재발방지란 실질적 성과를 내기 위해선 '공공의 민간화'가 아닌 '민간의 공공화'를 위한 정책을 적극 검토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번 화재 사고에 대해 '기술'이 아닌 '구조'의 문제가 컸다며 대구 PPP 모델도 대안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PPP 운영 체계가 물리적 입주 중심의 '폐쇄형' 구조로 설계됐다는 점에서 효용성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그는 "이번 국정자원 화재 사태 본질은 '정부 집중형 온프레미스' 구조의 한계로 단순히 대구센터로 물리적 위치만 옮기고 여전히 동일한 관리 체계와 복구 방식으로 운영하면 정보 재난이 반복될 뿐"이라고 꼬집었다.
현재 PPP 운영 구조에 대해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가 입주해도 직접 자원을 제어하거나 이중화 백업을 자율적으로 구성할 수 없다"며 "정부에서 민관이 협력하는 모델이라고 하지만 실상은 공공 전산실 내 위탁 운영하는 수준에 머물 것"이라고 비판했다.
최 회장은 클라우드의 핵심 가치인 자율·확장·탄력성을 발휘할 수 있는 '오픈 클라우드 존'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개방형 거버넌스 구축이 중요하다며 "정부의 협력형 모델이 실질적으로 작동하려면 PPP를 단순 입주형 공간이 아닌 정책적 중립 모델로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민간 업체에게 직접 운영하도록 하며 유지·보수 등 백업 정책을 수행할 수 있는 공동 운영권을 제도화하며, 공공업무별로 민간·공공 클라우드를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운영 가이드라인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민간 클라우드 전환을 위한 컨트롤타워 구축과 함께 관련 예산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도 피력했다.
그는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관련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선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정보원의 각기 다른 제도를 넘어야 하는 것이 장벽"이라며 "통합된 체계를 갖춘 클라우드 컨트롤타워 마련이 시급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클라우드 전환 사업을 위한 예산이 올해도 725억원으로 턱없이 부족하고, 내년에는 이보다 10% 줄어든 실정"이라며 "이번 화재 사고로 정부에서 경각심을 갖고 예산 재편성을 하는 계기로 삼길 바란다"고 했다.
“반복 사고 막으려면 ‘민간의 공공화’ 필요”
클라우드 컨트롤타워·예산 확보 시급

"인공지능(AI) 글로벌 강국(G3)을 위해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보단 근간인 클라우드 인프라를 강화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데이터센터를 짓고 GPU를 사는 것보다는 방대한 데이터를 만들고 저장해 이중화할 수 있는 클라우드 운영 체계 재정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거버넌스를 재편하고 클라우드 컨트롤타워를 세우는 한편 민간의 역량을 앞세울 단계적 전환 모델을 구축할 때입니다."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재해복구(DR) 이중화 시스템이 허술했다는 점이 여실히 드러났다. 서비스 복구 속도가 느리고 완벽한 복구는 내년에야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KT클라우드와 삼성SDS, NHN클라우드 등 주요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복구 작업을 지원하면서 민간 클라우드 전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최지웅(사진)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장(KT클라우드 대표)은 최근 디지털타임스와 만나 정부의 사후 대처 방안인 민관협력형(PPP) 모델 활성화는 진정한 해결법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최 회장은 "대구 PPP모델은 공공정보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분산·민간화하는 정책 전환점으로 평가할 수 있다"면서도 "이번 사고가 구조적 한계를 지녔다는 점에서 재발방지란 실질적 성과를 내기 위해선 '공공의 민간화'가 아닌 '민간의 공공화'를 위한 정책을 적극 검토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번 화재 사고에 대해 '기술'이 아닌 '구조'의 문제가 컸다며 대구 PPP 모델도 대안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PPP 운영 체계가 물리적 입주 중심의 '폐쇄형' 구조로 설계됐다는 점에서 효용성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그는 "이번 국정자원 화재 사태 본질은 '정부 집중형 온프레미스' 구조의 한계로 단순히 대구센터로 물리적 위치만 옮기고 여전히 동일한 관리 체계와 복구 방식으로 운영하면 정보 재난이 반복될 뿐"이라고 꼬집었다.
현재 PPP 운영 구조에 대해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가 입주해도 직접 자원을 제어하거나 이중화 백업을 자율적으로 구성할 수 없다"며 "정부에서 민관이 협력하는 모델이라고 하지만 실상은 공공 전산실 내 위탁 운영하는 수준에 머물 것"이라고 비판했다.
최 회장은 클라우드의 핵심 가치인 자율·확장·탄력성을 발휘할 수 있는 '오픈 클라우드 존'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개방형 거버넌스 구축이 중요하다며 "정부의 협력형 모델이 실질적으로 작동하려면 PPP를 단순 입주형 공간이 아닌 정책적 중립 모델로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민간 업체에게 직접 운영하도록 하며 유지·보수 등 백업 정책을 수행할 수 있는 공동 운영권을 제도화하며, 공공업무별로 민간·공공 클라우드를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운영 가이드라인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민간 클라우드 전환을 위한 컨트롤타워 구축과 함께 관련 예산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도 피력했다.
그는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관련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선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정보원의 각기 다른 제도를 넘어야 하는 것이 장벽"이라며 "통합된 체계를 갖춘 클라우드 컨트롤타워 마련이 시급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클라우드 전환 사업을 위한 예산이 올해도 725억원으로 턱없이 부족하고, 내년에는 이보다 10% 줄어든 실정"이라며 "이번 화재 사고로 정부에서 경각심을 갖고 예산 재편성을 하는 계기로 삼길 바란다"고 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