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SI20251014_0021013504_web_20251014130023_20251030121713995.jpg?type=w800

국회 행안위 국감서 양부남 의원 '은폐' 지적에
"인체정보 등 본인확인 확실한 접속 대책 마련"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의 행정안전부 등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0.14. kkssmm99@newsis.com[서울=뉴시스] 강지은 성소의 기자 =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공무원 업무 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 등이 외부 해킹된 사실을 뒤늦게 발표한 데 대해 "미리 알릴 경우 같은 양식의 해킹이 들어올 수 있어서 대책을 먼저 세우고 조치를 취한 후 발표하게 됐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3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행안부에 대한 종합감사에서 '7월에 관련 사실을 알고도 10월에 발표했는데, 이것을 숨기려고 한 것인가 하는 의심을 지워버릴 수 없다'는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적에 이같이 답했다.

행안부는 지난 17일 브리핑을 갖고 "올해 7월 중순께 누군가 외부 인터넷 PC에서 정부원격접속시스템(G-VPN)을 통해 공무원 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에 접근한 정황을 국가정보원이 확인했다"고 밝혔다.

지난 8월 미국의 보안 전문 매체인 '프랙'은 행안부가 관리하는 온나라시스템 등 한국 정부의 행정망이 해킹을 당했다고 보도했는데, 의혹 제기 두 달 만에 관련 사실을 인정한 것이다.

윤 장관은 이에 대해 "제가 그 때(7월)는 장관이 아니었다"면서도 "이것은 숨길 수 있는 사안이 아님에도 지금까지 그것을 공식적으로 발표하고 대책을 미리 국민에게 알리지 않았던 것은 이러한 이유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윤 장관은 이미 2022년 9월부터 해킹을 당했지만, 3년간 이러한 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한 데 대해서는 "직원들의 PC를 해킹해 아이디와 인증서 패스워드로 정상적으로 들어왔기 때문에 발견하지 못했다고 보고를 받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관련 대책으로 "지금도 모바일 신분증을 통한 접속이 가능한데,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해 인체정보 등 본인 확인이 확실할 때에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