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4548357_001_20251027182512615.jpg?type=w800

MI5X에 EUV 등 핵심 장비 들어서
생산 시설 구축 완료 양산 절차 진행
HBM 집중 생산해 시장 1위 굳히기
SK하이닉스 청주 M15X 생산공장 조감도. 자료제공=SK하이닉스
[서울경제]

SK하이닉스(000660)가 고대역폭메모리(HBM) 등을 생산할 청주 M15X 공장(팹)에 핵심 장비들의 반입을 시작했다. 청주 M15X는 연내 준공하고 내년부터 생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청주 M15X 클린룸을 개소하고 장비를 반입하고 있다. M15X는 20조원 이상 투입해 짓는 M15의 확장 팹이다. SK하이닉스는 올해 안에 M15X 준공을 마무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장비 반입은 SK하이닉스가 생산 시설 구축을 마치고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SK하이닉스에 따르면 MI5X에는 반도체에 초미세회로를 새겨 넣는 장비인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도 들어섰다.

M15X는 올 4분기 준공하고 내년 차세대 D램과 HBM 등 주요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다. SK하이닉스는 M15X에서 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들의 주문이 늘어나고 있는 HBM을 집중 생산해 시장에서 선두 위치를 굳힐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분기 실적 발표 설명회에서 "M15X는 고객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차세대 HBM 제품 위주의 양산을 계획하고 있다"며 "내년 모든 고객이 필요한 물량에 대한 가시성이 확보되는 상황에 맞춰 점진적으로 캐파(생산능력)를 늘려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는 이미 올해 HBM 물량을 모두 판매했다. 또 메모리 3사 가운데 가장 먼저 HBM4(6세대) 양산 준비를 마치고 엔비디아와 막바지 물량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SK하이닉스는 M15X 외에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미국 인디애나주 어드밴스드 패키징 공장 구축도 병행하며 글로벌 생산·패키징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SK하이닉스 M15X 공장 전경. 사진제공=SK하이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