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랑스 국립우주연구원 "양국 우주기술, 상호보완 가능"
(우주항공청 제공)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우주항공청은 27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프랑스 국립우주연구원(CNES)과 '제5차 한불우주포럼'을 개최했다.
민간 주도 우주개발 '뉴스페이스' 시대의 핵심 의제를 중심으로 양국의 전략과 현장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다. 또 기업 간(B2B) 미팅을 통해 향후 협력 아이템을 발굴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행사에선 국가 우주전략 기조발표에 이어 △전략적 우주 자립성 △우주탐사 △차세대 궤도역량 △우주 서비스 △상업 우주 등 주제별 발표와 패널토론이 진행됐다. 양국의 우주탐사 로드맵과 차세대 우주경제 구축을 위한 지원 방안 등 주요 정책도 소개됐다.
특히, 전략적 우주 자립성 세션에서는 미래 우주 수송 체계와 우주 안보 논의가 다뤄졌다.이어졌다. 양국의 우주 수송 현황과 전망, 재사용 발사체 개발 동향, 정부 수요에 대응하는 민간 우주 안보 서비스 사례 등이 공유됐다.
B2B 미팅의 경우 한국 기업 15곳과 프랑스 기업 17곳이 참여했다. 이들은 발사체, 소형위성, 지구관측 설루션, 궤도상 서비스, 우주상황인식(SSA) 기술, 우주의약 등 주력 분야를 소개했다. 또 공공-민간 협력(PPP)의 필요성, 한불 협력의 방향성 등도 제시했다.
이 밖에도 우주청과 CNES는 산업 생태계 차원의 실질적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포괄적 우주활동 협력에 관한 협약'도 체결했다.
한편 프랑스는 유럽우주청(ESA)의 핵심 기여국이자 유럽의 우주 강국으로 알려졌다. 우주수송, 우주탐사, 지구관측, 위성항법 등 유럽의 핵심 우주 전략 프로그램을 주도하고 있다.
리오넬 수셰 CNES 최고운영책임자(COO)는 "프랑스와 한국은 상호보완적 강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우주항공청은 27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프랑스 국립우주연구원(CNES)과 '제5차 한불우주포럼'을 개최했다.
민간 주도 우주개발 '뉴스페이스' 시대의 핵심 의제를 중심으로 양국의 전략과 현장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다. 또 기업 간(B2B) 미팅을 통해 향후 협력 아이템을 발굴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행사에선 국가 우주전략 기조발표에 이어 △전략적 우주 자립성 △우주탐사 △차세대 궤도역량 △우주 서비스 △상업 우주 등 주제별 발표와 패널토론이 진행됐다. 양국의 우주탐사 로드맵과 차세대 우주경제 구축을 위한 지원 방안 등 주요 정책도 소개됐다.
특히, 전략적 우주 자립성 세션에서는 미래 우주 수송 체계와 우주 안보 논의가 다뤄졌다.이어졌다. 양국의 우주 수송 현황과 전망, 재사용 발사체 개발 동향, 정부 수요에 대응하는 민간 우주 안보 서비스 사례 등이 공유됐다.
B2B 미팅의 경우 한국 기업 15곳과 프랑스 기업 17곳이 참여했다. 이들은 발사체, 소형위성, 지구관측 설루션, 궤도상 서비스, 우주상황인식(SSA) 기술, 우주의약 등 주력 분야를 소개했다. 또 공공-민간 협력(PPP)의 필요성, 한불 협력의 방향성 등도 제시했다.
이 밖에도 우주청과 CNES는 산업 생태계 차원의 실질적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포괄적 우주활동 협력에 관한 협약'도 체결했다.
한편 프랑스는 유럽우주청(ESA)의 핵심 기여국이자 유럽의 우주 강국으로 알려졌다. 우주수송, 우주탐사, 지구관측, 위성항법 등 유럽의 핵심 우주 전략 프로그램을 주도하고 있다.
리오넬 수셰 CNES 최고운영책임자(COO)는 "프랑스와 한국은 상호보완적 강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