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카콜라·월마트 현지 법인 판매 급감…기후 악화·소비 위축 '이중고'멕시코 증시가 최근 6개월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소비재 기업들은 예외였다. 특히 음료 제조업체들이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며 증시 하락을 이끌었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탄산음료 병입업체 아르카 콘티넨탈은 3분기 실적 발표에서 멕시코 내 판매량이 2% 이상 줄었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코카콜라 병입사인 코카콜라 펨사 역시 2분기 멕시코 판매량이 전년 대비 10%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회사 측은 3분기 부진 역시 멕시코 시장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판매 부진의 주된 원인은 끝없이 이어진 폭우였다. 비로 인해 소비자들이 집에 머물면서 탄산음료와 맥주 등 전반적인 음료 수요가 급감했다는 설명이다. 외신에 따르면 멕시코는 국민 1인당 연간 166리터의 탄산음료를 마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멕시코 국기. (사진=픽사베이)
스코샤은행은 아르카 콘티넨탈과 펨사를 멕시코 대표 소비주로 꼽았다. 하지만 애널리스트 펠리페 우크로스는 이 정도 하락은 매우 이례적으로, 가장 큰 요인은 날씨라고 진단했다.
아르투로 구티에레스 아르카 콘티넨탈 최고경영자(CEO)는 비가 잦고 기온이 낮은 데다 경기 둔화까지 겹쳤다며 기상 여건과 경제 상황이 나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코카콜라 펨사와 월마트 데 멕시코 역시 최근 분기보고서에서 이상기후를 실적 악화의 요인으로 꼽았다.
멕시코는 지난 6월 3년 만에 가장 많은 강수량을 기록했다. 이후 수도 멕시코시티에서는 폭우로 교통이 마비되고 국제공항 운영이 중단되기도 했다. 10월 들어서도 남부와 중부 지역에서 홍수와 산사태가 발생해 최소 76명이 숨지고 수십 명이 실종됐다.
기상이변으로 기업 실적은 더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멕시코의 소비 부문은 지속적인 물가 상승,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 글로벌 무역전쟁으로 인한 경기 불확실성 등 복합적인 압력을 받고 있다. 이안 크레이그 코카콜라 펨사 CEO는 현재의 거시경제 환경을 고려하면 멕시코 내 판매 회복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애널리스트들은 보고서에서 "기상 악화로 인해 소매업체 전반의 실적이 약세를 보일 것"이라며 "소비자들이 고가 제품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포장·자체 브랜드(PB)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탄산음료 병입업체 아르카 콘티넨탈은 3분기 실적 발표에서 멕시코 내 판매량이 2% 이상 줄었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코카콜라 병입사인 코카콜라 펨사 역시 2분기 멕시코 판매량이 전년 대비 10%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회사 측은 3분기 부진 역시 멕시코 시장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판매 부진의 주된 원인은 끝없이 이어진 폭우였다. 비로 인해 소비자들이 집에 머물면서 탄산음료와 맥주 등 전반적인 음료 수요가 급감했다는 설명이다. 외신에 따르면 멕시코는 국민 1인당 연간 166리터의 탄산음료를 마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코샤은행은 아르카 콘티넨탈과 펨사를 멕시코 대표 소비주로 꼽았다. 하지만 애널리스트 펠리페 우크로스는 이 정도 하락은 매우 이례적으로, 가장 큰 요인은 날씨라고 진단했다.
아르투로 구티에레스 아르카 콘티넨탈 최고경영자(CEO)는 비가 잦고 기온이 낮은 데다 경기 둔화까지 겹쳤다며 기상 여건과 경제 상황이 나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코카콜라 펨사와 월마트 데 멕시코 역시 최근 분기보고서에서 이상기후를 실적 악화의 요인으로 꼽았다.
멕시코는 지난 6월 3년 만에 가장 많은 강수량을 기록했다. 이후 수도 멕시코시티에서는 폭우로 교통이 마비되고 국제공항 운영이 중단되기도 했다. 10월 들어서도 남부와 중부 지역에서 홍수와 산사태가 발생해 최소 76명이 숨지고 수십 명이 실종됐다.
기상이변으로 기업 실적은 더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멕시코의 소비 부문은 지속적인 물가 상승,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 글로벌 무역전쟁으로 인한 경기 불확실성 등 복합적인 압력을 받고 있다. 이안 크레이그 코카콜라 펨사 CEO는 현재의 거시경제 환경을 고려하면 멕시코 내 판매 회복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애널리스트들은 보고서에서 "기상 악화로 인해 소매업체 전반의 실적이 약세를 보일 것"이라며 "소비자들이 고가 제품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포장·자체 브랜드(PB)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