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3362695_001_20251026110414023.jpg?type=w800

LG전자가 6세대 이동통신(6G), 인공지능(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퓨처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미래 기술 분야 연구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기술 목표, 유망 기술, 응용·서비스 전망 등을 교류하는 행사다.

김병훈 LG전자 CTO 부사장이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열린 '퓨처 2030 서밋'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LG전자는 2022년부터 KAIST, KRISS와 기술 교류 행사인 6G 그랜드 서밋을 열어 온 가운데, 올해부터는 AI, 양자기술, 우주산업 기술 등으로 주제를 넓혔다.

장영재 KAIST 교수와 일본산업기술종합연구소(AIST) 마사히로 호리베 박사는 기조연설을 맡아 피지컬 AI를 통한 제조 산업 생태계 구축과 일본의 퀀텀 전략·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발표했다.

다양한 미래기술 시연도 진행됐다.

LG전자는 △주파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6G FDR(전 이동통신) 신규 솔루션 △P5G 통신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팩토리 내 수많은 로봇을 끊김 없이 실시간으로 정밀 제어할 수 있는 솔루션 △인공위성 등 대기권 밖에서 운영되는 비지상 통신망을 활용해 네트워크 연결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서도 음성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차세대 음성통신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

'퓨처 2030 서밋'에서 LG전자의 P5G 통신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팩토리에서 활용하는 무인 지게차 로봇 제어 시연을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LG전자는 국내 최초 6G 산학연구센터 'LG전자-KAIST 6G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LG AI연구원·KIST 등과 휴머노이드 분야 선행 연구개발(R&D)도 진행해 로봇, 자율주행차 등 피지컬 AI 분야에서도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내년 예정된 누리호 5차 발사에 통신 모듈형 안테나를 탑재해 우주산업 분야 기술력 확보와 사업 기회 모색에도 나서고 있다.

김병훈 LG전자 CTO 부사장은 “다양한 연구개발 파트너와 협력을 지속해 6G, AI, 양자, 우주 기술 등 미래 핵심 기술에 대한 리더십을 공고히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