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디스플레이 업계를 위협하고 있는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최근 수년간 저조한 수익률을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의 데이터에 따르면 글로벌 주요 패널 제조사 10곳 중 최근 5년간 평균 순이익률(매출 대비 순이익의 비율)이 두 자릿수를 기록한 곳은 삼성디스플레이(12.19%)가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기업들은 BOE(3.94%)를 제외하고 전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에버디스플레이의 5년간 평균 순이익률은 -55.05%로 집계됐고 비전옥스는 -45.34%, 티앤마는 -0.12%를 기록했다.
국내 기업인 LG디스플레이의 경우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 침체로 -5.04%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역시 중국 기업들의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1분기와 2분기 각각 10.37%, 6.84%의 순이익률을 기록한 반면 BOE, 티앤마는 0∼4% 미만의 순이익률에 그쳤다. 또 비전옥스와 에버디스플레이는 여전히 마이너스 두 자릿수의 순이익률을 기록하며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중국 업체들이 저조한 수익률을 내고 있는 것은 저가 제품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중소형 디스플레이 사업에서 BOE의 액정표시장치(LCD) 매출 비중은 연간 기준 31%, 티앤마는 55.7%였다.
이는 이미 OLED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한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들과는 대조되는 부분이다.
OLED 패널만 생산하고 있는 중국 기업들도 내수용으로 저가형 OLED 패널을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비전옥스는 지난해 글로벌 중소형 OLED 시장에서 출하량 기준 10.7%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나 매출 점유율은 6.8%로 이보다 적었고, 에버디스플레이 또한 출하량 점유율은 2.6%이었지만 매출 점유율은 0.7%에 그쳤다.
같은 기간 삼성 디스플레이는 출하량 기준 39.9%, 매출 기준 43.3%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는 “중국으로 인력 유출도 많아지면서 과거보다 기술 격차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고 경계했다.
삼성디스플레이 OCF 적용 스마트폰 OLED 패널. 삼성디스플레이 제공
26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의 데이터에 따르면 글로벌 주요 패널 제조사 10곳 중 최근 5년간 평균 순이익률(매출 대비 순이익의 비율)이 두 자릿수를 기록한 곳은 삼성디스플레이(12.19%)가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기업들은 BOE(3.94%)를 제외하고 전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에버디스플레이의 5년간 평균 순이익률은 -55.05%로 집계됐고 비전옥스는 -45.34%, 티앤마는 -0.12%를 기록했다.
국내 기업인 LG디스플레이의 경우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 침체로 -5.04%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역시 중국 기업들의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1분기와 2분기 각각 10.37%, 6.84%의 순이익률을 기록한 반면 BOE, 티앤마는 0∼4% 미만의 순이익률에 그쳤다. 또 비전옥스와 에버디스플레이는 여전히 마이너스 두 자릿수의 순이익률을 기록하며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중국 업체들이 저조한 수익률을 내고 있는 것은 저가 제품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중소형 디스플레이 사업에서 BOE의 액정표시장치(LCD) 매출 비중은 연간 기준 31%, 티앤마는 55.7%였다.
이는 이미 OLED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한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들과는 대조되는 부분이다.
OLED 패널만 생산하고 있는 중국 기업들도 내수용으로 저가형 OLED 패널을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비전옥스는 지난해 글로벌 중소형 OLED 시장에서 출하량 기준 10.7%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나 매출 점유율은 6.8%로 이보다 적었고, 에버디스플레이 또한 출하량 점유율은 2.6%이었지만 매출 점유율은 0.7%에 그쳤다.
같은 기간 삼성 디스플레이는 출하량 기준 39.9%, 매출 기준 43.3%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는 “중국으로 인력 유출도 많아지면서 과거보다 기술 격차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고 경계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